• 2023. 6. 10.

    by. 건물주님이꿈

    반응형

      조세희 작가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12편의 연작 중 <뫼비우스의 띠> 줄거리와 작품에 대해 정리해 봅시다.

     

    조세희 &lt;&lt;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gt;&gt; 중 &lt;뫼비우스의 띠&gt;

     

    줄거리

      고교 3학년 학생들에게 수학 교사가 많은 이야기를 해 준다. 수학 교과서에서도 나오는 '뫼비우스의 띠'를 통해 두 가지 예를 들어 말해 준다. 첫 번째 '굴뚝 청소를 같이 한 뒤 얼굴이 새까맣게 된 아이와 깨끗한 아이 가운데 어느 쪽이 얼굴을 씻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한다. 이 말을 들은 학생들은 상식적으로 대답을 한다. 그러나 수학 교사는 질문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을 한다. 두 번째 예는 앉은뱅이와 꼽추의 이야기이다. 앉은뱅이와 꼽추, 몸도 생활도 어려운 그들의 집은 아파트 재건축 때문에 무너져 버린다. 앉은뱅이와 꼽추는 돈을 제대로 받지도 못했다. 둘은 복수를 결심한다. 기름통도 준비하고 마음도 굳게 먹는다. 하지만 앉은뱅이는 적극적인 데 반해 꼽추는 겁이 난다. 앉은뱅이는 살이 피둥피둥 찐 부동산 업자를 만나서 집의 가격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부동산 업자의 거짓말에 화가 난다. 앉은뱅이는 사나이에게서 돈과 서류를 받는다. 그리고는 차에 태워 기름을 붓고 불을 지른다. 꼽추는 살인을 한 앉은뱅이의 마음에 겁이 난다. 서로 같은 동기에서 복수를 하지만, 앉은뱅이는 돈으로 강냉이 기계를 사서 생활할 계획을 하고 꼽추는 이에 반대하며 약장수를 따라갈 것을 결심한다. 둘은 헤어지면서 앉은뱅이는 눈물을 흘린다. 수학 교사는 이런 '뫼비우스의 띠'의 많은 진리를 학생들에게 이야기하고 교실을 나간다.

     

    작품의 구성

      뫼비우스의 띠는 액자식 구성으로,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넘나드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우화적인 기법을 구사하고 있다.

      외화는 수학교사의 질문과 학생들의 대답, 수학 교사의 뫼비우스의 띠에 대한 얘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화는 빈민층의 참담한 현실을 보여주는 일화를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소설의 주제는 매우 사실주의적인데 반해 수법은 반사실적, 서정적이다. 

     

    작품의 이해

      이 작품은 모두 12부분으로 이루어진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연작의 첫 편을 이루고 있다. 이 작품은 연작 중의 하나인 '칼날'과 함께 난장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난장이' 연작의 의미를 구체화시킨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각각 독립된 두 개의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교사가 학생들에게 '굴뚝 청소를 같이 한 뒤 얼굴이 새까맣게 된 아이와 깨끗한 아이 가운데 어느 쪽이 얼굴을 씻을 것인가?'를 묻고 이에 학생들이 상식적인 대답을 하는 것이 그 첫 번째 이야기이다. 여기서 교사는 학생들의 경솔한 대답을 지적하면서 칠판에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가 다양한 의미를 암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이야기에서 앉은뱅이와 꼽추는 아파트 입주권을 헐값으로 사들인 부동산 업자에게 복수를 결심하고, 결국에는 부동산 업자를 죽이게 되는데, 여기서 이 일에 소극적이었던 꼽추는 앉은뱅이의 행동에 두려움을 느낀다. 이 이야기를 통해 보면, 뫼비우스의 띠는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 현실의 상징이다. 또한 그것은 지식의 간사함에 대한 경계이며, 평등한 삶을 꿈꾸는 사람들의 희망이기도 한 것이다.  

     

     

     

    ※ 참고 문헌

    조세희 /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동아출판사 / 1995
    조세희 /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문학과 지성사 / 1978
    권영민 / <한국현대문학사> / 민음사 / 1993
    이화진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론>, <1970년대 장편소설의 현장> /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 국학자료원 / 2002
    김지영 / <조세희 소설의 서사기법 연구>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3
    이재은 / <조세희 소설 연구>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