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5. 20.

    by. 건물주님이꿈

    반응형

    줄거리

      (도입액자) 할아버지는 서화와 골동에 취미가 있었는데, 이것은 우리 집안의 가풍이기도 했다. 그중에 무녀의 그림이 있다. 이 그림은 내가 태어나지도 않았을 때, 한 사내가 소녀를 나귀에 태우고 와서는, 여식의 그림을 보아 달라고 하여 할아버지가 며칠 묵게 배려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그림을 그림과 동시에 자기네의 지난 얘기도 들려주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할아버지로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경주에서 멀리 떨어진 잡성촌 마을에 모화라는 무당이 벙어리인 딸 낭이를 데리고 쓸쓸히 살고 있었다. 모화는 술을 즐겼고, 늘 바깥 출입이 잦았다. 집으로 올 때면 덩실덩실 춤을 추며 '꽃님'을 불렀다. 모화는 꿈에서 수국 용신님의 열두째 딸 꽃님이 자기 뱃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꾼 뒤 낭이를 낳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고, 용신님의 딸로 정성껏 모셨다.

      욱이가 돌아온 날부터 을씨년스런 이 집에 생기가 돌기 시작했다. 욱이는 모화가 무당이 되기 전에 낳은 사생아인데, 어려서 신동이라 불리었지만 순조롭게 공부를 시킬 수 없어 아홉 살에 어느 절간으로 보냈다. 그 욱이가 10년 만에 돌아온 것이다. 모화는 욱이를 얼싸안고 통곡을 한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욱이의 행동은 이 두 사람에게 낭패감을 준다. 예수교 신자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욱이는 낭이에게 성경 읽기와 하나님 모시기를 권한다. 모화는 예수귀신이 씌었다고 푸념한다.

      욱이는 평양의 목사에게 편지를 보낸다. 이 사귀에 빠져 헤어날 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교회를 빨리 지어야겠다고 간청을 한다. 욱이가 예수교인들을 만나기 위해 두루 돌아다닐 때, 모화는 예수귀신을 쫓기 위해 치성을 드린다. 모화가 춤추는 걸 훔쳐보던 낭이는 제 방에서 자기도 옷을 벗어던지고는 미친 듯이 춤을 춘다. 욱이가 돌아온 날 밤 모화는 성경을 불태우며 치성을 드린다. 잠결에 성경이 없어진 걸 안 욱이가 부엌으로 갔을 땐 성경이 타고 있었다. 그것을 붙잡으려다 모화가 휘두르는 칼에 그만 찔리고 만다. 모화는 흥분 상태에서 아들을 품에 안는다. 욱이의 건강이 악화되었다. 마을에는 교회가 서고 예수교의 전파가 급속히 진행된다. 모화는 욱이를 극진히 간호한다. 사람들이 모화를 떠나 예수교에 관심을 가지자 더욱 강렬히 치성을 드리며 예수 귀신을 쫓느라 열성을 보인다.

      평양에서 현 목사가 와서 이 마을의 교회가 욱이의 노력으로 건설되었음을 말해준다. 욱이는 목사님에게 성경을 부탁한다. 성경을 받은 욱이는 그것을 가슴에 안고 숨긴다.

      마을 부잣집 며느리가 물에 빠져 자살했는데 그 혼백을 건지는 굿을 모화가 맡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모처럼 굿을 보기 위해 몰려든다. 혼백이 건져지지 않자 모화는 넋대를 들고 주문을 외며 물가로 다가간다. 넋두리를 계속하며 점점 물 가운데로 가던 모화는 마침내 물에 빠져 죽게 된다.

      그 이후 어떤 사내가 나타나 혼자 누워 있는 낭이를 데리러 온다. 그녀의 아버지다. 나귀등에 낭이를 태우고는 그 마을을 떠난다.

     

    등장 인물

    • 모화 : 문명적인 이기나 물질에 대한 욕심이 거의 없고 토속적인 신앙에 충실한 무당임. 아들(욱이)의 상해를 계기로 아들과 대립적인 관계에 있던 무녀로서의 모화에서 아들에 대한 연민으로 어쩔 줄 몰라하는 어머니로서의 모화로 성격적 변모를 겪기도 하는 인물
    • 욱이 : 모화가 신들리기 전에 만난 남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음. 절에서 지내다가 평양으로 도망쳐 기독교도가 되어서 돌아온다. 기독교인으로 일관된 모습을 보이다가 죽음
    • 낭이 : 동해변에서 해물장사를 하는 조그만 체구의 사내와 모화 사이에서 난 벙어리 소녀이다. 어머니의 굿의 효험으로 말문이 열리며 문제의 무녀도를 그려주고 떠난 소녀이다.

     

    핵심 정리

    • 갈래 : 단편소설, 순수소설, 액자소설
    • 공간적 배경 : 음산한 모화의 집, 강 가 모래벌
    • 시간적 배경 : 개화기
    • 사상적 배경 : 기독교 신앙과 토속적인 신앙
    •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갈등구조 : 욱이와 모화의 갈등(외래 종교와 토착종교와의 갈등) → 종교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
    • 주제 : 무속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갈등에 의한 비극적인 인간의 운명, 전통적 세계의 사라짐과 그것의 정신적 아름다움
    • 출전 : <<중앙>> (1936)
    반응형

     

    이해와 감상

    1.  이 작품의 중심 갈등은 무당인 모화로 대변되는 토속적인 신앙과 욱이로 대변되고 있는 기독교 신앙으로, 이러한 갈등과 대결은 결국 모화로 하여금 욱이를 죽이는 비극을 불러일으킨다. 김동리는 전통 세계를 소재로 하여 전통정신의 소설적 형상화에 남달리 관심을 기울여 온 작가이다. 이 소설에서의 전통정신은 '무속'이다. 그러나 문명화가 진행되면서 한국적 전통세계(샤머니즘)는 위협받기 시작했으며, 세계관 자체의 변혁으로 인해 과학적 사고의 상극에 존재하는 무속신앙이 소멸의 비운을 맞게 된 것이다
    2.  이 작품은 모화와 욱이의 대립 속에서 자기 세계에 도취하고 신비화되는 낭이를 통해, 소멸의 한을 간직한 채 열정을 예술로 승화하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삶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엄마와 오빠의 중간자적 존재로 관조적 입장을 취해 왔지만, 오빠의 등장으로 애정의 심연에 빠지는 모습과 어머니의 춤을 보면서 낭이 또한 미친 듯이 춤을 추는 행위를 보여주는 낭이는, 어머니와 오빠의 죽음 후에 남은 나머지의 아픔과 한을 고스란히 안은채 떠돌게 되는 인물이다. 그 한의 정체가 무녀도라고 해도 좋겠다.
    3. 이 작품은 액자형 플롯과 일인칭 관찰자 시점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고 있다. 서두에 보면 화자가 무녀도라는 그림을 입수하게 된 동기와 그에 얽힌 사연을 말하겠다는 부분이 나온다. 이는 설화체를 수용한 부분이다. 작가는 과거의 향수나 기량의 미숙에서 낡은 방식을 수용한 것이 아니고, 액자형 플롯과 일인칭 관찰자 시점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이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의해 이 작품은 리얼리티를 획득하고 있다.
    4.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소설적 역량을 최대로 발휘한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78년 확대 개작되어 <을화>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단순히 갈등의 분위기의 제시에 그쳤던 <무녀도>와는 달리 <을화>는 을화라는 무당의 내력과 입무과정 그리고 그 속에서 겪는 고통과 꿈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무녀도>에서와 같이 기독교 신자가 되어 돌아온 아들 영술이는 죽지만 을화는 아들을 잃고도 살아남는다. 작가는 <무녀도>, <을화> 등의 작품을 통해서 우리 민족의 정신사에서 나타난 갈등을 이야기함과 동시에 현세와 내세의 문제를 조명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5. 결론적으로, 이 소설은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충돌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는 전통문화에 대한 작가의 애정 어린 눈빛을 형상화한 작품이라 하겠다. 그러나 전통문화는 쉽게 소멸되지 않고 낭이의 마음속에 한과 같은 에너지로 자리 잡고 있다는 메시지를 동시에 던지고 있는 것이다. 

     

    김동리<무녀도> 보러가기

     

    무녀도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참고 문헌
    김동리 / 이동하 / 건국대학교 출판부 / 1996
    김동리 / 이태동 / 벽호 / 1993
    김동리 / 유기룡 / 살림 / 1996
    김동리 삶과 문학 / 김정숙 / 집문당 / 1996
    김동리 소설 연구 / 조회경 / 국학자료원 / 1999
    김동리 소설 연구 / 이진우 / 푸른 사상/ 2002

     

    반응형